비누 이야기

2.비누의 성질

관리자 0 2,267
​​

비누는 원료유지를 수산화 알칼리( 알칼리)로 비누화하든가,

적당한 방법으로 얻은 지방산을 알칼리로 중화시켜 만든다.

알칼리비누의 주체는 소비량으로 보아 나트륨염인데, 소다비누 또는 경성()비누라고

하며, 칼륨염은 칼륨비누 또는 연성()비누라 한다.  

알칼리비누(이하 비누라고 하면 알칼리비누를 말한다)는 무수()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에탄올 이외의 유기용제()에는 잘 녹지 않으나, 함수()비누는 벤진·크레졸 등에 녹는 것도 있다.

비누는 함수량, 대기의 상대습도, 온도 등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기도 하고 건조하기도

한다. 이 성질은 구성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현저하게 다른데, 일반적으로 저급()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인 경우와 칼륨염인 경우에 습기를 흡수하기 쉽다.

비누는 수용액 속에서 농도가 낮으면 분자상태로 분산되어 있으나,

농도가 높아지면 분자와 회합하여 미셀을 형성하고 콜로이드와 같은 행동을 한다. 

 

미셀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농도를 임계() 미셀 농도라고 하는데,

비누 분자의 종류·온도·공존물 등에 따라 약간 변동한다.

 

비누는 물 속에서 가수분해하며 용액의 pH는 일반적으로 9가 넘는다.

수용액에 알칼리나 알칼리염을 가하면 비누분이 위층으로 분리된다.

이 조작을 염석이라 하며, 경성비누의 제조공정상 중요하다.

또, 비누 분자는 이 친수기()와 소수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큰 계면활성()을 지니며, 전형적인 계면활성제로서 기포성(

에멀션화[] 및 큰 세정 작용을 가진다.

 

비누의 원료유지는 우지·야자유·팜유·팜핵유()·미강유()를 주로 하며,

이 밖에 콩기름·면실유·케이폭유·땅콩기름·피마자유·어유()에서 얻는 경화유·

각종 지방산 등이 사용된다.  

경성비누에는 고체지방과 불건성유()가, 연성비누에는 반건성유를 일부 배합한

건성유를 사용한다. 비누는 실용상 굳기·용해성·기포성·영석성·세척력·

보존성(곧, 변화 부패에 대한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제조되는데,

이들 성질은 원료유지를 구성하는 지방산에 따라 다르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 습진 / 피부염 / 아토피피부염 발효유황화장품_굿지몰 03.01 1793
8 지루성피부염 / 지루성두피염, 비듬 발효유황화장품_굿지몰 03.01 1297
7 2. 법제유황과 제독유황의 차이점 관리자 01.28 5190
6 1. 유황 이야기 관리자 01.28 2072
5 5. 비누의 분류 관리자 01.28 1873
4 4. 비누의 제조 관리자 01.28 2352
3 3. 비누의 작용 관리자 01.28 1605
열람중 2.비누의 성질 관리자 01.28 2268
1 1. 비누의 역사 관리자 01.28 1448

Notice

Category

Posts

  • 글이 없습니다.

Community